맨위로가기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평행대회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평행대회전은 2010년 2월 26일 캐나다 사이프러스 마운틴에서 열렸다. 예선에서 상위 16명의 선수가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으며, 네덜란드의 니콜린 사우어브레이가 금메달을,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일류히나가 은메달을, 오스트리아의 마리온 크라이너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 선수는 출전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하프파이프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하프파이프는 휘슬러 블랙콤에서 열린 스노보드 경기로, 토라 브라이트가 금메달, 한나 테터가 은메달, 켈리 클라크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예선, 준결선, 결선으로 진행, 총 3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스노보드 크로스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스노보드 크로스는 16명의 선수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어 메일 리커(캐나다)가 금메달, 데보라 안토니오즈(프랑스)가 은메달, 올리비아 놉스(스위스)가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 올림픽 스노보드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는 30개국 248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휘닉스 스노 경기장과 알펜시아 스키점프 센터에서 슬로프스타일, 하프파이프, 스노보드 크로스, 빅에어, 평행대회전 총 10개 세부 종목의 메달을 놓고 경쟁한 대회이다.
  • 올림픽 스노보드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는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남자, 여자 평행대회전, 하프파이프, 스노보드 크로스 등 6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과 캐나다가 금메달 2개로 강세를 보였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201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경기는 김연아가 쇼트와 프리 스케이팅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며 총점 228.56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신기록을 세운 대회이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하프파이프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하프파이프는 휘슬러 블랙콤에서 열린 스노보드 경기로, 토라 브라이트가 금메달, 한나 테터가 은메달, 켈리 클라크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예선, 준결선, 결선으로 진행, 총 3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평행대회전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종목여자 평행대회전
대회2010년 동계 올림픽
올림픽 오륜기
올림픽 오륜기
경기장사이프러스 산
날짜2010년 2월 26일
참가 선수30명
참가 국가16개국
메달리스트
금메달니콜리엔 사우어브레이
금메달 국가네덜란드
은메달예카테리나 일류키나
은메달 국가러시아
동메달마리온 크라이너
동메달 국가오스트리아
올림픽 연대기
이전 대회2006년
다음 대회2014년

2. 경기 방식

2. 1. 예선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평행대회전 예선은 각 선수들이 레드, 블루 코스를 각각 한 번씩 주행하여 두 기록을 합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마리온 크라이너(오스트리아)가 1분 22초 52로 1위를 차지하였고, 니콜리엔 사우어브라이(네덜란드)가 1분 23초 18로 2위, 도리스 귄터(오스트리아)가 1분 23초 20으로 3위를 기록했다.

순위Bib이름국가예선
페어
시간탈락
페어
시간합계비고
11마리온 크라이너640.631441.891:22.52Q
8니콜리엔 사우어브라이441.041442.141:23.18Q
1도리스 귄터140.521542.681:23.20Q
14예카테리나 일류키나741.611141.821:23.43Q
3예카테리나 투데게셰바241.151242.571:23.72Q
21카미유 드 포콩프레1141.351142.381:23.73Q
7클라우디아 리글러441.081342.661:23.74Q
23안케 카르스텐스1241.59942.311:23.90Q
10알렉사 루542.36741.861:24.22Q
104타케우치 토모카241.611242.811:24.42Q
119이나 메쉬크542.43742.081:24.51Q
126아멜리 코버341.98942.611:24.59Q
132미셸 고르곤140.191544.441:24.63Q
1419셀리나 요르크1042.53542.101:24.63Q
1517이자벨라 라뵈크942.22842.741:24.96Q
1625안나마리 춘다크1342.46642.981:25.44Q
1712알레나 자바르지나642.04843.471:25.51
1818나탈리 데마레스941.891043.821:25.71
1920조 쇼1043.41542.691:26.10
2015캐롤라인 칼베843.90142.481:26.38
2122야나타니 에리1141.571344.821:26.39
2229주자나 돌레잘로바1543.33243.221:26.55
2327일로나 루오찰라이넨1443.29443.371:26.66
2413스베틀라나 볼디코바743.30343.361:26.66
2524카르멘 라니글러1243.01643.921:26.93
2630코리나 보카치니1544.49444.391:28.88
2726글로리야 코트니크1346.44345.671:32.11
2816프렌지 매거트-콜리8241.651:50.76
295키미코 자크레키341.3610
|| 14 || || || || ||

|}

2. 2. 결선 토너먼트

16강에서는 예선 상위 16명의 선수가 1대1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크라이너(마리온 크라이너/Marion Kreinerde) (오스트리아)가 춘다크 (안나마리 춘다크/Annamari Chundakuk) (우크라이나)를 2.29초 차로 이기고 8강에 진출했다.

카르스텐스 (안케 카르스텐스/Anke Karstensde) (독일)가 루 (알렉사 루/Alexa Loo영어) (캐나다)를 0.01초 차로 이기고 8강에 진출했다.

코버 (아멜리 코버/Amelie Koberde) (독일)는 투데게셰바 (예카테리나 투데게셰바/Ekaterina Tudegeshevaru) (러시아)가 실격하면서 8강에 진출했다.

일류히나 (예카테리나 일류히나/Ekaterina Ilyukhinaru) (러시아)는 고르곤 (미셸 고르곤/Michelle Gorgone영어) (미국)을 0.21초 차로 이기고 8강에 진출했다.

뢰르크 (셀리나 뢰르크/Selina Jörgde) (독일)는 귄터 (도리스 귄터/Doris Güntherde) (오스트리아)를 0.41초 차로 이기고 8강에 진출했다.

메쉬크 (이나 메쉬크/Ina Meschikde) (오스트리아)는 드 포코프레 (카미유 드 포코프레/Camille de Faucompret프랑스어) (프랑스)를 4.88초 차로 이기고 8강에 진출했다.

리글러 (클라우디아 리글러/Claudia Rieglerde) (오스트리아)는 타케우치 (다케우치 도모카/竹内智香일본어) (일본)를 12.68초 차로 이기고 8강에 진출했다.

사우어브레이 (니콜린 사우어브레이/Nicolien Sauerbreijnl) (네덜란드)는 라보에크 (이자벨라 라보에크/Isabella Laböckde) (독일)를 17.98초 차로 이기고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16강에서 승리한 선수 8명이 1대1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크라이너 (오스트리아)가 카르스텐스 (독일)를 8.34초 차로 이기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일류히나 (러시아)는 코버 (독일)가 실격하면서 준결승에 진출했다.

뢰르크 (독일)는 메쉬크 (오스트리아)를 0.08초 차로 이기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사우어브레이 (네덜란드)는 리글러 (오스트리아)를 0.30초 차로 이기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8강에서 승리한 선수 4명이 결승 진출을 위해 1대1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일류히나 (러시아)가 크라이너 (오스트리아)를 0.14초 차로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

사우어브레이 (네덜란드)는 뢰르크 (독일)가 기권하면서 결승에 진출했다.

순위 결정전에서는 준결승에서 패배한 선수들이 3-4위전과 5-8위전을 치렀다.

4강전에서 패한 선수들은 5위부터 8위까지의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순위 결정전을 치렀다.

순위 5-8위 결정전에서는 카르스텐스 (안케 카르스텐스/Anke Karstensde)가 코버 (아멜리 코버/Amelie Koberde)를 상대로 승리했다. 코버는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다(DNS). 메쉬크 (이나 메쉬크/Ina Meschikde)는 리글러 (클라우디아 리글러/Claudia Rieglerde)를 상대로 승리했다. 리글러는 완주에 실패했다(DNF).

순위 5-6위 결정전에서는 카르스텐스가 메쉬크를 0.64초 차로 이겼다. 순위 7-8위 결정전에서는 리글러가 코버를 상대로 승리했다. 코버는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다(DNS).

결승전에서는 준결승에서 승리한 선수들이 금메달과 은메달을 놓고 경기를 펼쳤다. 준결승에서 패배한 선수들은 동메달 결정전을 치렀다.


사우어브레이 (네덜란드)가 일류히나 (러시아)를 0.23초 차로 이기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크라이너 (오스트리아)가 뢰르크 (독일)를 2.29초 차로 이기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2. 2. 1. 16강

예선 상위 16명의 선수가 1대1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2. 2. 2. 8강

16강에서 승리한 선수 8명이 1대1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2. 2. 3. 준결승

8강에서 승리한 선수 4명이 결승 진출을 위해 1대1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2. 2. 4. 순위 결정전

4강전에서 패한 선수들은 5위부터 8위까지의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순위 결정전을 치렀다.

순위 5-8위 결정전에서는 카르스텐스 (안케 카르스텐스/Anke Karstensde)가 코버 (아멜리 코버/Amelie Koberde)를 상대로 승리했다. 코버는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다(DNS). 메쉬크 (이나 메쉬크/Ina Meschikde)는 리글러 (클라우디아 리글러/Claudia Rieglerde)를 상대로 승리했다. 리글러는 완주에 실패했다(DNF).

순위 5-6위 결정전에서는 카르스텐스가 메쉬크를 0.64초 차로 이겼다. 순위 7-8위 결정전에서는 리글러가 코버를 상대로 승리했다. 코버는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다(DNS).

2. 2. 5. 결승

결승전에서는 준결승전에서 승리한 선수들이 금메달과 은메달을 놓고 경기를 펼쳤다. 준결승전에서 패배한 선수들은 동메달 결정전을 치렀다.

3. 경기 결과

3. 1. 예선 결과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평행대회전 예선은 2010년 2월 26일에 사이프러스 마운틴에서 진행되었다. 예선에서 오스트리아의 마리온 크라이너가 1위를 차지했으며, 16위까지 16강에 진출하였다. 대한민국 선수는 출전하지 않았다.

순위Bib이름국가예선
페어
시간탈락
페어
시간합계비고
111마리온 크라이너640.631441.891:22.52Q
28니콜리엔 사우어브라이441.041442.141:23.18Q
31도리스 귄터140.521542.681:23.20Q
414예카테리나 일류키나741.611141.821:23.43Q
53예카테리나 투데게셰바241.151242.571:23.72Q
621카미유 드 포콩프레1141.351142.381:23.73Q
77클라우디아 리글러441.081342.661:23.74Q
823안케 카르스텐스1241.59942.311:23.90Q
910알렉사 루542.36741.861:24.22Q
104타케우치 토모카241.611242.811:24.42Q
119이나 메쉬크542.43742.081:24.51Q
126아멜리 코버341.98942.611:24.59Q
132미셸 고르곤140.191544.441:24.63Q
1419셀리나 요르크1042.53542.101:24.63Q
1517이자벨라 라뵈크942.22842.741:24.96Q
1625안나마리 춘다크1342.46642.981:25.44Q
1712알레나 자바르지나642.04843.471:25.51
1818나탈리 데마레스941.891043.821:25.71
1920조 쇼1043.41542.691:26.10
2015캐롤라인 칼베843.90142.481:26.38
2122야나타니 에리1141.571344.821:26.39
2229주자나 돌레잘로바1543.33243.221:26.55
2327일로나 루오찰라이넨1443.29443.371:26.66
2413스베틀라나 볼디코바743.30343.361:26.66
2524카르멘 라니글러1243.01643.921:26.93
2630코리나 보카치니1544.49444.391:28.88
2726글로리야 코트니크1346.44345.671:32.11
2816프렌지 매거트-콜리8241.651:50.76
295키미코 자크레키341.3610
|| 14 || || || || ||

|}

분류: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3. 2. 결선 토너먼트 결과

결승에서 네덜란드의 사우어브레이가 러시아의 일류히나를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동메달은 오스트리아의 크라이너에게 돌아갔다.

16강전에서 크라이너는 춘다크를 상대로 승리하였고, 카르스텐스는 루를 이겼다. 코버는 투데게셰바를 상대로 승리, 일류히나는 고르곤을 꺾었다. 뢰르크는 귄터를 이겼고, 메쉬크는 드 포코프레를 꺾었다. 리글러는 타케우치를 상대로 승리, 사우어브레이는 라보에크를 이겼다.

8강에서는 크라이너가 카르스텐스를 꺾었고, 일류히나는 코버를 상대로 승리했다. 뢰르크는 메쉬크를 이겼으며, 사우어브레이는 리글러를 꺾었다.

준결승에서 일류히나가 크라이너를 이겼고, 사우어브레이는 뢰르크를 상대로 승리했다.

4. 메달리스트

4. 1. 대한민국 선수 미출전

참조

[1] 웹사이트 Vancouver 2010 Official Site http://www.vancouver[...]
[2] 웹인용 Schedule and Results : Vancouver 2010 Winter Olympics http://www.vancouver[...] 2010-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